서브메뉴
본문 내용

시험안내 > 환경영향평가사제도
법적근거
- 「환경영향평가법」제63조 및 같은법 시행령 제70조
수행직무 (『환경영향평가법』제2조 및 제54조)
- 환경 현황 조사, 환경영향 예측·분석, 환경보전방안의 설정 및 대안 평가 등을 통하여 환경영향평가서 등의 작성 수행
- 자연환경, 생활환경, 사회·경제환경에 대한 전문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사업시행 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·예측·평가
- 해로운 환경영향을 피하거나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보전방안을 설정·평가·검증하는 등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을 총괄·관리하는 역할을 수행
향후전망
- 평가대상사업의 증가에 따라 평가대행자 등록업체 및 이에 종사하는 기술 인력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
- 제1종 환경영향평가업체의 환경영향평가사 고용 의무화 추진
- 평가대행자의 등록요건 중 기술인력 총수는 현행 10명을 유지, 기술사 3인 중 1명을 환경영향평가사로 대체
(「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」제68조, 2022.7.1.부터 시행)
자격검정통계
응시자격서류관리
시험명 |
년도 |
회차 |
필기시험 |
면접시험 |
응시(명) |
합격(명) |
합격율(%) |
응시(명) |
합격(명) |
합격율(%) |
환경영향평가사 |
2014 |
1 |
257 |
13 |
5.06 |
13 |
7 |
53.9 |
2014 |
2 |
141 |
23 |
16.3 |
29 |
20 |
69.0 |
2015 |
3 |
149 |
23 |
15.4 |
32 |
20 |
62.5 |
2015 |
4 |
187 |
27 |
14.4 |
39 |
26 |
66.7 |
2016 |
5 |
242 |
42 |
17.4 |
53 |
32 |
60.4 |
2016 |
6 |
293 |
29 |
9.90 |
48 |
31 |
64.6 |
2017 |
7 |
254 |
28 |
11.0 |
43 |
27 |
62.8 |
2017 |
8 |
304 |
12 |
3.95 |
27 |
19 |
70.4 |
2018 |
9 |
252 |
16 |
6.35 |
21 |
13 |
61.9 |
2018 |
10 |
268 |
13 |
4.85 |
19 |
15 |
79.0 |
2019 |
11 |
341 |
33 |
9.68 |
37 |
26 |
70.3 |
2019 |
12 |
392 |
30 |
7.65 |
41 |
32 |
78.0 |
2020 |
13 |
175 |
18 |
10.3 |
27 |
20 |
74.07 |
2020 |
14 |
177 |
13 |
7.3 |
20 |
17 |
85 |
2021 |
15 |
155 |
29 |
18.71 |
32 |
29 |
90.63 |
2021 |
16 |
259 |
34 |
13.13 |
37 |
28 |
75.68 |
2022 |
17 |
236 |
31 |
13.14 |
40 |
33 |
82.5 |
2022 |
18 |
276 |
52 |
18.84 |
58 |
48 |
82.75 |
2022 |
19 |
316 |
33 |
10.44 |
42 |
35 |
83.33 |
2023 |
20 |
305 |
51 |
16.7 |
58 |
47 |
81 |
2023 |
21 |
369 |
56 |
15.8 |
67 |
50 |
74.63 |